2025년 7월 16일(수) | 미국증시 주요일정
1. 경제지표 발표
이벤트 | 중요도 | 한국 시간 (KST) | 현지 시간 (ET) | 의미 |
클리블랜드 소비자물가지수 (MoM) (6월) | ★★★ | 00:00 | 11:00 (7/15) | 클리블랜드 연은에서 발표하는 물가지수로, 전체 CPI 발표에 앞서 인플레이션 추세를 가늠할 수 있는 참고 지표입니다. |
모기지은행협회 30년 모기지금리 | ★★★ | 20:00 | 07:00 | 주택 구매 수요와 부동산 시장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지표로, 주택 시장의 건전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
모기지은행협회 모기지신청건수 (WoW) | ★★★ | 20:00 | 07:00 | 주간 모기지 신청 건수의 변화를 통해 주택 시장의 활성화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MBA 구매지수 | ★★★ | 20:00 | 07:00 | 모기지 신청 건수 중 주택 구매를 위한 신청 비중을 나타내며, 주택 구매 수요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
모기지 시장지수 | ★★★ | 20:00 | 07:00 | 전체 모기지 시장의 활동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모기지 재융자지수 | ★★★ | 20:00 | 07:00 | 기존 모기지를 재융자하는 건수를 나타내며, 금리 변동에 따른 차주들의 반응을 보여줍니다. |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MoM) (6월) | ★★★★★ | 21:30 | 08:30 | 변동성이 큰 식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생산자 물가 지수로, 최종 소비재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생산 단계의 인플레이션 압력을 보여줍니다. |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YoY) (6월) | ★★★★★ | 21:30 | 08:30 | 전년 동월 대비 근원 생산자 물가 상승률로, 장기적인 생산자 물가 추세를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
생산자물가지수 (YoY) (6월) | ★★★★★ | 21:30 | 08:30 | 전년 동월 대비 생산자 물가 상승률로, 전반적인 생산자 물가 수준을 나타내며 소비자 물가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생산자물가지수 (MoM) (6월) | ★★★★★ | 21:30 | 08:30 | 전월 대비 생산자 물가 상승률로, 단기적인 생산자 물가 변화를 보여줍니다. |
식품/에너지/교통 제외 생산자물가지수(PPI) (YoY) (6월) | ★★★★★ | 21:30 | 08:30 | 식품, 에너지, 교통 서비스를 제외한 PPI로, 핵심적인 생산자 물가 추세를 파악하는 데 유용합니다. |
식품/에너지/교통 제외 생산자물가지수(PPI) (MoM) (6월) | ★★★★★ | 21:30 | 08:30 | 식품, 에너지, 교통 서비스를 제외한 전월 대비 PPI 변화를 나타냅니다. |
생산능력 이용률 (6월) | ★★★★ | 22:15 | 09:15 | 기업의 생산 설비가 얼마나 활용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경제의 유휴 생산 능력과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
산업 생산 (YoY) (6월) | ★★★★ | 22:15 | 09:15 | 전년 동월 대비 산업 생산량 변화로, 제조업, 광업, 유틸리티 등 산업 전반의 활동 수준을 보여줍니다. |
산업생산 (MoM) (6월) | ★★★★ | 22:15 | 09:15 | 전월 대비 산업 생산량 변화로, 단기적인 산업 활동 동향을 나타냅니다. |
제조업 생산 (MoM) (6월) | ★★★★ | 22:15 | 09:15 | 전월 대비 제조업 생산량 변화로, 산업 생산 중 제조업 부문의 성과를 구체적으로 보여줍니다. |
원유재고 | ★★★★ | 23:30 | 10:30 | 미국 상업용 원유 재고량의 주간 변화를 나타내며, 국제 유가 변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EIA 정유소 원유 고갈율 (WoW) | ★★★ | 23:30 | 10:30 | 주간 정유소의 원유 소비 변화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
원유 수입 | ★★★ | 23:30 | 10:30 | 주간 원유 수입량을 나타내며, 에너지 수요와 공급 상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됩니다. |
쿠싱 원유 재고 | ★★★★ | 23:30 | 10:30 | 오클라호마 쿠싱 지역의 원유 재고량을 나타내며, 미국 내 원유 공급 상황의 핵심 지표 중 하나입니다. |
증류유 생산 | ★★★ | 23:30 | 10:30 | 경유, 난방유 등 증류유의 주간 생산량을 나타냅니다. |
에너지 정보청 주간 정제유 재고량 | ★★★ | 23:30 | 10:30 | 휘발유, 경유 등 정제유의 주간 재고 변화를 보여줍니다. |
가솔린 생산 | ★★★ | 23:30 | 10:30 | 주간 가솔린 생산량을 나타냅니다. |
난방유 비축량 | ★★★ | 23:30 | 10:30 | 난방유의 주간 비축량 변화를 나타냅니다. |
EIA 주간 정유소 가동율 (WoW) | ★★★ | 23:30 | 10:30 | 주간 정유소의 가동률 변화를 나타내며, 에너지 생산 활동 수준을 보여줍니다. |
가솔린 재고 | ★★★★ | 23:30 | 10:30 | 주간 가솔린 재고량 변화를 나타내며, 휘발유 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2. 주요 기업 실적 발표
기업명 | 티커 | 예상 발표 시간 (KST) |
존슨앤존슨 | JNJ | 장 시작 전 (예상) |
뱅크오브아메리카 | BAC | 장 시작 전 (예상) |
ASML | ASML | 장 시작 전 (예상) |
모건 스탠리 | MS | 장 시작 전 (예상) |
골드만삭스 | GS | 장 시작 전 (예상) |
프로그레시브 | PGR | 장 시작 전 (예상) |
프로로지스 | PLD | 장 시작 전 (예상) |
PNC 파이낸셜 | PNC | 장 시작 전 (예상) |
킨더 모건 | KMI | 장 시작 전 (예상) |
라스베가스 샌즈 | LVS | 장 시작 전 (예상) |
M&T 뱅크 | MTB | 장 시작 전 (예상) |
유나이티드 항공 | UAL | 장 시작 전 (예상) |
First Horizon | FHN | 장 시작 전 (예상) |
Commerce Bancshar | CBSH | 장 시작 전 (예상) |
마켓액세스홀딩스 | MKTX | 장 시작 전 (예상) |
알코아 | AA | 장 시작 전 (예상) |
Synovus Financial | SNV | 장 시작 전 (예상) |
First Ind Tr | FR | 장 시작 전 (예상) |
Home BancShares | HOMB | 장 시작 전 (예상) |
SL 그린 리얼티 | SLG | 장 시작 전 (예상) |
AAR Corp | AIR | 장 시작 전 (예상) |
Banner Corp | BANR | 장 시작 전 (예상) |
Monarch Casino | MCRI | 장 시작 전 (예상) |
Triumph Bancorp | TFIN | 장 시작 전 (예상) |
Winmark Corp | WINA | 장 시작 전 (예상) |
Community Tr | CTBI | 장 시작 전 (예상) |
Old Second Bancorp | OSBC | 장 시작 전 (예상) |
Heartland Exp. | HTLD | 장 시작 전 (예상) |
Great Southern | GSBC | 장 시작 전 (예상) |
South Plains Financial | SPFI | 장 시작 전 (예상) |
Plumas Bancorp | PLBC | 장 시작 전 (예상) |
NBI | NKSH | 장 시작 전 (예상) |
슬립 넘버 | SNBR | 장 시작 전 (예상) |
마틴 미드 | MMLP | 장 시작 전 (예상) |
실적 발표 시간은 변동될 수 있으므로, 각 회사 웹사이트에서 정확한 발표 시간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3. 증시에 영향을 줄 만한 이벤트
이벤트 | 중요도 | 한국 시간 (KST) | 현지 시간 (ET) | 비고 |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바(Barr) 연설 | ★★★★ | 01:45 / 23:00 | 12:45 (7/15) / 10:00 | 연준 고위 관계자의 발언은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중요한 힌트를 제공하며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FOMC 위원 Barkin 연설 | ★★★★ | 02:00 / 21:00 | 13:00 (7/15) / 08:00 |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위원의 발언은 연준의 경제 전망 및 금리 정책 기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
콜린스 연준 총재 연설 | ★★★★ | 03:45 | 14:45 (7/15) | 연준 지역 연방은행 총재의 발언은 해당 지역 경제 상황과 전반적인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시각을 제공합니다. |
로간 댈러스 연은 총재 연설 | ★★★★ | 08:45 | 19:45 (7/15) | 댈러스 연은 총재의 발언 역시 지역 경제 및 연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
미국석유협회 주간 원유 재고 | ★★★★ | 05:30 | 16:30 (7/15) | 민간 기관에서 발표하는 원유 재고 지표로,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 공식 발표에 앞서 시장의 기대치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미칩니다. |
4. 현재 시황 및 주요 변수 분석
2025년 7월 16일 수요일은 미국 증시에 있어 전일의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 이어 또 다른 중요한 인플레이션 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매우 중요한 날입니다. PPI는 기업들이 제품 생산에 드는 비용을 나타내는 지표로, 향후 소비자 물가에 전이될 수 있는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입니다. PPI가 예상치를 상회할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가 다시 고조될 수 있으며, 이는 연방준비제도(Fed)의 긴축 기조 유지 또는 강화 가능성을 높여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산업 생산 및 생산능력 이용률 발표는 미국 경제의 전반적인 성장 모멘텀과 제조업 부문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지표들이 예상치를 하회할 경우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커질 수 있습니다.
에너지 시장에서는 미국석유협회(API) 주간 원유 재고와 미국 에너지 정보청(EIA)의 공식 주간 원유 재고 발표가 연이어 예정되어 있어 유가 변동성에 큰 영향을 줄 것입니다. 이는 에너지 관련 기업들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기업들의 생산 비용과 소비자 물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중요하게 지켜봐야 합니다.
더불어, 연준의 바(Barr) 부의장, 바킨(Barkin) 위원, 콜린스 총재, 로간 총재 등 다수의 연준 인사들의 연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들의 발언은 전일 발표된 CPI와 이날 발표될 PPI를 바탕으로 한 연준의 경제 판단과 통화 정책 기조에 대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입니다. 시장은 이들의 발언에서 향후 금리 인상 또는 인하 경로에 대한 힌트를 찾으려 할 것입니다.
주요 기업 실적 발표 측면에서는 존슨앤존슨, 뱅크오브아메리카, ASML, 모건 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대형 금융 및 산업 기업들의 실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특히 금융 기업들의 실적은 전반적인 경제 건전성과 대출 시장 상황을 반영하므로 시장의 큰 관심을 받을 것입니다. ASML과 같은 반도체 장비 기업의 실적은 글로벌 기술 섹터의 동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재 시장은 중동 및 동유럽의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 그리고 인플레이션 압력이라는 복합적인 변수 속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선 관련 발언들은 무역 정책 및 규제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일론 머스크와 같은 영향력 있는 기업가들의 돌발적인 발언이나 행동은 특정 산업군에 예상치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이 모든 변수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본 사이트는 참고용이며 실제 일정과 맞는지 교차검증하기 바랍니다. 오기재된 내용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손해는 본 사이트가 책임지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