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표명 (한국시간) | 지표명 (현지시간) | 중요도 | 의미 |
---|---|---|---|
클리블랜드 연은 소비자물가지수 (MoM) (3월) (4월 11일 오전 0시) | Cleveland CPI (MoM) (Mar) (April 10, 11:00 AM ET) | ★★ |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에서 자체적으로 추정하는 월간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전체 CPI 발표 전에 참고용으로 활용될 수 있지만, 시장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
미 국채 입찰 (4주, 8주물) (4월 11일 오전 0시 30분) | US T-Bill Auction (4-Week & 8-Week) (April 10, 11:30 AM ET) | ★ | 단기 자금 시장의 수요와 공급을 나타내며, 시장의 전반적인 유동성 상황을 가늠해 볼 수 있습니다. 금리 수준은 단기 자금 조달 비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
Fed Goolsbee 연설 (4월 11일 오전 1시) | Fed Goolsbee Speaks (April 10, 12:00 PM ET) | ★★★★ | 연준 인사(오스탄 굴스비 시카고 연방준비은행 총재로 추정)의 공개 연설은 향후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습니다. 특히 경제 상황 평가 및 금리 전망 관련 발언에 관심이 집중될 수 있습니다. |
WASDE 보고서 (4월 11일 오전 1시) | WASDE Report (April 10, 12:00 PM ET) | ★★ | 미국 농무부(USDA)에서 발표하는 세계 농업 수급 전망 보고서입니다. 곡물, 축산물 등의 생산량, 소비량, 재고량 전망을 담고 있어 농산물 가격 변동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 식품 물가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FOMC 멤버 Harker 연설 (4월 11일 오전 1시 30분) | FOMC Member Harker Speaks (April 10, 12:30 PM ET) | ★★★★ | 연준 인사(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 총재로 추정)의 공개 연설은 통화 정책에 대한 의견을 제시할 수 있어 시장의 관심을 끌 수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 및 고용 시장에 대한 언급이 중요하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미국 30년물 국채 입찰 (4월 11일 오전 2시) | US 30-Year Bond Auction (April 10, 1:00 PM ET) | ★★★ | 장기 국채 발행에 대한 시장의 수요를 나타냅니다. 응찰률과 낙찰 금리는 장기 금리 전망과 인플레이션 기대 심리를 반영하며, 주택담보대출 금리 등 장기 시장 금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미국 연방재정수지 (3월) (4월 11일 오전 3시) | US Federal Budget Balance (Mar) (April 10, 2:00 PM ET) | ★ | 미국 연방 정부의 월간 재정 수입과 지출 차이를 나타냅니다. 정부 재정 상황을 보여주지만, 단기적인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
연준 대차대조표 및 지급준비금 (4월 11일 오전 5시 30분) | Fed’s Balance Sheet & Reserve Balances (April 10, 4:30 PM ET) | ★★ | 연준의 자산 및 부채 현황, 그리고 시중 은행들의 연준 지급준비금 잔액을 보여줍니다. 금융 시장의 유동성 상황을 파악하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
미국 근원 생산자물가지수 (PPI) (MoM & YoY) (3월) (4월 11일 오후 9시 30분) | US Core PPI (MoM & YoY) (Mar) (April 11, 8:30 AM ET) | ★★★★ | 에너지 및 식품 가격을 제외한 생산자물가지수의 변동을 나타냅니다. 기업들의 비용 상승 압력을 보여주며, 향후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행 지표로 간주됩니다.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YoY & MoM) (3월) (4월 11일 오후 9시 30분) | US PPI (YoY & MoM) (Mar) (April 11, 8:30 AM ET) | ★★★★ | 생산자가 판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인플레이션 압력을 가늠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며, 소비자물가지수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미국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최종) (4월) (4월 11일 오후 11시) | University of Michigan Consumer Sentiment Index (Final) (Apr) (April 11, 10:00 AM ET) | ★★★ | 미시간대학교에서 발표하는 소비자들의 경제 상황에 대한 신뢰도를 나타내는 지수입니다. 소비 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상치와 크게 벗어나는 경우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기대치도 함께 발표됩니다. |
2. 주요 기업 실적 발표 (나스닥 100 기업 중 해당 날짜 실적 발표 예정 기업)
- JP모건 (JPM)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장 개장 전 가능성 높음)
- 웰스 파고 (WFC)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장 개장 전 가능성 높음)
- 모건 스탠리 (MS)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장 개장 전 가능성 높음)
- 블랙록 (BLK)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장 개장 전 가능성 높음)
- 뱅크오브뉴욕 멜론 (BK)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장 개장 전 가능성 높음)
- 패스널 (FAST) – 실적 발표 시간 미확인
3. 증시에 영향을 줄 만한 이벤트
- Fed Goolsbee 연설 (4월 11일 오전 1시) & FOMC 멤버 Harker 연설 (4월 11일 오전 1시 30분):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힌트 제공 가능성
-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발표 (4월 11일 오후 9시 30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중요한 정보 제공
-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최종) 발표 (4월 11일 오후 11시): 소비 심리 및 인플레이션 기대치 확인
- 주요 은행 실적 발표 (JP모건, 웰스 파고, 모건 스탠리, 블랙록, 뱅크오브뉴욕 멜론): 금융 섹터 전반의 건전성 및 향후 전망 제시
총평:
2025년 4월 11일 금요일에는 미국 생산자물가지수 (PPI)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인플레이션 상황을 다시 한번 점검하는 중요한 날이 될 것입니다. PPI는 CPI에 선행하는 경향이 있어, 인플레이션 압력 지속 여부에 대한 시장의 경계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근원 PPI 변화율은 기조적인 물가 상승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입니다.
더불어 Fed 굴스비 총재와 하커 총재의 연설은 연준의 통화 정책 방향에 대한 추가적인 힌트를 제공할 수 있어 시장의 관심을 끌 것입니다.
또한, JP모건, 웰스 파고, 모건 스탠리, 블랙록, 뱅크오브뉴욕 멜론 등 주요 금융 기관들의 실적 발표가 예정되어 있어 금융 섹터 전반의 건전성을 가늠하고 시장 심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각 은행의 실적 내용과 향후 전망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 최종치 발표는 소비 심리 변화를 확인하고, 함께 발표되는 인플레이션 기대치는 향후 물가 상승 압력에 대한 전망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4월 11일 금요일은 인플레이션 지표 발표, 연준 인사 발언, 주요 은행 실적 발표 등 다양한 이벤트들이 예정되어 있어 시장 변동성이 클 수 있으므로 투자에 유의해야 합니다.
※ 본 사이트는 참고용이며 실제 일정과 맞는지 교차검증하기 바랍니다. 오기재된 내용으로 인해 발생한 모든 손해는 본 사이트가 책임지지 않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