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타이완 총통 美 경유 불허…중국 눈치 본 셈법?

타이완 라이칭더 총통의 중남미 순방 계획이 ‘뉴욕 경유 불허’로 암초를 만났다. 미국이 중국과의 외교적 긴장을 고려해, 당초 허용하려던 총통의 미국 경유 계획을 막은 것으로 보인다.

라이 총통은 8월 초 파라과이, 과테말라, 벨리즈 등 중남미 3개국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며, 전통적으로 미국을 경유해 가는 외교 관례를 따를 계획이었다. 뉴욕 체류 중에는 미 측 인사들과의 비공식 접촉도 예상됐으나, 미국이 이를 불허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결정은 중국의 반발에 대한 고려와, 현재 조율 중인 미중 정상회담에 미칠 외교적 파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분석된다.

타이완 총통부는 경유 불허와 관련한 외부적 언급을 자제하며, “태풍 피해 대응 및 대미 경제 협상 문제로 외국 방문은 계획에 없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이는 미국 측의 입장 변경 이후 나온 대응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중국은 타이완을 자국 영토로 간주하며, 타이완 지도자의 미국 체류나 고위급 접촉에 강하게 반발해 왔다. 경유 형식이라 해도 미국 내에서 총통이 활동하는 것은 중국에겐 ‘주권 침해’로 비춰질 수 있는 사안이다.

앞서 미국 국무부는 “과거 관행과 정책에 부합한다”며 라이 총통의 경유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미국이 입장을 바꾼 시점에는 미중 무역협상 진전과 트럼프–시진핑 정상회담 가능성이 연결되어 있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조 바이든 전 행정부 시절에는 타이완 총통의 미국 경유가 허용됐고, 그로 인해 타이완해협의 군사적 긴장 고조를 감내한 바 있다. 이번 결정은 트럼프 행정부의 보다 신중한 접근법을 드러내는 대목으로 읽힌다.

Similar Posts

답글 남기기